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잠시 마음이 아파 쉬고 있을 뿐 당신과 똑같은 사람

본문

"잠시 마음이 아파 쉬고 있을 뿐 당신과 똑같은 사람"

유난히 쌀쌀하던 가을 아침 이길형 씨(32)와 처음 만났을 때, 이 분이 바로 우리가 찾아 온 자립한 정신장애인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뒤늦게 놀랐다. 약간 쑥스러워하면서도 친근하게 웃는 말쑥한 생김새가 머릿속에 있던 '정신장애인'의 이미지와 완전히 달랐던 것이다. 말투도 차분하고 대화에도 막힘이 없었다.

환한 미소로 인터뷰에 응해주신 이길형씨


그의 직업이 사회적 일자리인 '컬러풀잉크 행복충전 1호점'에서도 홍보 및 전화 업무, 말하자면 '영업직'이라는 점도 색달랐다. 정신장애인은 비사회적일 것이라는 편견과는 정반대였다. "먼저 말 거는 것은 아직 서툴지만 남과 이야기 나누는 걸 좋아한다"는 이 씨는 일이 자기한테 정말 잘 맞는 것 같다며 즐거워했다.

"가게마다 돌며 인사하고 전단지를 돌리며 홍보한 적이 있어요. 저는 그저 평범하게 했을 뿐인데, 옆에 있던 팀장님이 오히려 놀라시더라고요. 어쩜 그렇게 말을 잘 하냐고." 물론 전화로 가격 흥정을 할 때 같은 돌발 상황에는 당황해서 대처하기 힘들 때도 있다. 하지만 예전에 하던 생산직 일에 비하면 적성에도 잘 맞고, 사회복지사가 상주하기 때문에 어려운 점을 상담할 수 있어 힘든 점이 거의 없다고.

그는 이렇게 무사히 정착하기 전까지 힘든 일을 많이 겪었다. 이 씨에게 처음으로 '증상'이 나타난 건 고등학교 때. 친구와 다툼이 있은 뒤 분한 마음에 며칠 잠을 이루지 못했는데, 그때부터 몸이 이상해지기 시작했다. 조울증, 정신분열 등 수많은 정신병을 돌아가며 겪었고, 정신병원에 입원하기도 했다.

퇴원한 뒤에도 정신 병력이 있는 그에게는 일자리를 구하는 것도 쉽지 않았다. "'병역면제'라고 적으면 사유를 꼭 물어봅니다. 정신병이 있다고 이야기하면 절대 취업할 수 없어요." 결국 군복무를 대신해 고등학교 때 실습했던 업체에서 사회봉사를 했다고 속이고 취업해야 했다. 이렇게 늘 상황이 불안해서 치료받는 것도 게을리 했고, 그러다 보면 상태가 악화돼 직장을 그만두고 병원에 다니는 일의 반복이었다. 악순환이 끝난 것은 서구정신보건센터와 클럽하우스 비콘 같은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복지시설을 안 뒤부터였다.

"서구정신보건센터에서 '진정감'이란 걸 처음 느껴 봤습니다. 가을에 증상이 심해져 한동안 집에만 있고 센터에 나가지 않았던 적이 있는데 원장님이 직접 찾아오셨어요. 꾸준히 나와야 한다고, 계속 그렇게 살고 싶냐고 말씀해 주셨지요. 그 전까지 저는 제 주위에 그렇게 조언을 해 줄 사람이 없는 줄 알았습니다."

혼자 방에 있을 때는 외롭기만 했는데, 그렇게 마음을 열면서부터 힘들 때도 다른 사람에게 자기 얘기를 털어놓게 됐고, 상담도 받을 수 있게 됐다. 친구도 사귀었다. 그러는 과정에서 집에 있는 것이 그 자신에게 좋지 않다는 걸 깨닫고 정신장애인 입소 시설인 비콘을 찾았다. 성격상 전혀 모르는 사람들과 지내는 편이 오히려 항상 조심할 수 있어 좋았다. 게다가 비콘에 있는 동안 마찬가지로 정신장애를 치유하고 있던 여성과 교제해 퇴소할 때는 함께 방을 구해 나가게 됐다.

"나갈 때 최대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 우리 둘이서 잘 살아 보자고 다짐했어요." 곧 두 사람 다 취직해, 월급과 기초생활수급비를 합치니 따로 지원이나 부모님의 원조조차 필요 없게 됐다. 떳떳한 '자립'인 셈이다. "그 전에도 혼자 살겠다고 뛰쳐나왔던 적이 있었지만 힘들었어요. 이제는 지켜봐 주는 눈이 있다는 걸 아니까 마음 든든하고 행복합니다."

양가를 오가며 현재 교제하고 있는 여성과의 결혼을 준비하고 있다는 이 씨는, 현재 자립을 준비하고 있는 정신장애인들도 되도록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독립해 외롭거나 힘들지 않게 서로 격려해 줄 것을 권했다. 이 씨는 독립한 뒤 일을 하는 한편으로 치료를 병행하며 노력한 결과, 병도 많이 호전됐다.

"길을 갈 때 가끔 더러운 옷을 입고 머리도 길게 기른 사람들을 보잖아요. '정신장애'라고 하면 전부 그런 사람들이라고 떠올리는 것 같아요." 이 씨는 그런 시선에 특별히 상처를 입는 건 아니지만 못마땅한 기분이 든다고 했다. 그건 증세가 좀 심한 사례일 뿐, 많은 정신장애인들이 약을 꾸준히 먹기만 하면 정상인과 조금도 다름없이 일할 수 있고, 생활할 수 있다는 걸 사람들이 잘 몰라서 무조건 이상하고 위험하다고만 생각한다는 것이다. "'장애인'이라는 이름으로 낙인을 찍기보다, 잠시 마음이 아파 쉬고 있지만 나와 다를 것 없는 한 인간으로 생각해 줬으면" 하는 게 이 씨의 바람이다.

같은 병을 앓고 있는 항상 자기처럼 힘들고 아픈 사람들을 보면 다가가 뭐든 도와주고 싶다는 이 씨. 오늘은 오랜만에 부모님을 찾아뵐 거라며 미소 띠는 그의 얼굴을 보며 스스로가 부끄러워졌다고 하면 이 또한 '편견'일까. 자립의 첫 발을 내딛은 이길형 씨의 앞길이 앞으로도 쭉 즐겁고 힘차기를 기대해 본다.

                                            -국가인권위윈회 대구지역사무소 인권기자단 장애인권팀

위 글은 국가인권위원회 대구지역사무소 인권기자단 장애인권팀으로 활동하며 취재에 참여한 글임을 밝힙니다. 참고로, 대구 경북 지역의 다양한 인권관련소식과 인권기자단의 기사는 인권위 대구지역사무소 인권기자단 블로그 '누리ON'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 링크
인권위 대구지역사무소 인권기자단 블로그
사회복지법인 베네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