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는 요즘 어때?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대구는 요즘 어때?

메뉴 리스트

  • 방명록
  • 라이프 대구 (8714)
    • 대구 뉴스 (581)
      • 공연 소식 (519)
      • 전시회 소식 (118)
      • 축제·행사 소식 (909)
      • 경제 (785)
      • 교육 (1113)
      • 기타 (430)
    • 요즘한국 (1133)
      • 경제 (227)
      • 음식 (152)
      • 국제개발협력 (68)
    • 대구 구석구석 (504)
      • 여행·명소 (74)
      • 맛집·멋집 (6)
      • 축제·행사 (170)
      • 공연·전시 (120)
      • 스포츠 (45)
      • 일상다반사 (77)
      • 토막 인터뷰 (12)
    • 블로그 라이프 (207)
      • 블로거 수첩 (77)
      • 이벤트ㆍ공모 (50)
    • 트래블로거 (33)
    • 세계는 요즘 (82)
    • 비디오그래퍼 (26)
    • 슬기로운 IT 생활 (102)
    • 엔터로그 (2094)
      • 모두의 트로트 (231)
      • 다큐멘터리 (223)

검색 레이어

대구는 요즘 어때?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명의

  • 협심증, 방치하면 심근경색! 돌연사 원인 1위 심혈관질환, 방치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 명의

    2024.04.11 by 요즘대구

  • 대장암부터 악성 변비까지! 예방과 치료는 어떻게 하나? | 명의

    2024.04.03 by 요즘대구

  • 탈모, 어떻게 치료할까? 탈모약에 대한 오해와 진실 | 명의

    2024.03.27 by 요즘대구

  • 과민성 대장 증후군, 뭘 먹고 뭘 피해야 할까? 염증성 장질환 치료법은? | 명의

    2024.03.20 by 요즘대구

  • 손목터널증후군·방아쇠 수지·건초염·TFCC 등 손·손목 질환 | 명의

    2024.03.13 by 요즘대구

  • 잘 알려지지 않아 더욱 무서운 심근병증·부정맥! 어떻게 치료하고 예방할까? | 명의

    2024.03.06 by 요즘대구

  • 망막박리, 근시와의 관계는? 망막박리의 치료법과 예방법 | 명의

    2024.02.21 by 요즘대구

  • 무릎 관절이 두렵다면? 중년의 반월상 연골판 손상 주의보! | 명의

    2024.02.15 by 요즘대구

협심증, 방치하면 심근경색! 돌연사 원인 1위 심혈관질환, 방치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 명의

전신에 혈액을 공급하며 우리 몸의 펌프 역할을 하는 심장.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심장의 극심한 고통, 무엇 때문일까? 생명의 통로, 심장 혈관에 콜레스테롤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것을 ‘동맥경화증’이라 한다. 동맥경화증이 심해지면 관상동맥이 좁아져 협심증 혹은 심근경색증과 같은 심혈관질환이 생긴다. 심혈관질환의 가장 무서운 점은 예고 없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질환이라는 점이다. 갑작스럽게 심장 혈관이 터지거나 막혀 심장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고, 급사의 위험이 있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이처럼 심장이 막혔을 때, 어떤 치료를 받아야 할까? EBS ‘막힌 심장 혈관을 뚫어라!’ 편에서는 심혈관질환과 관련된 주요 방송을 아카이빙했다. 심혈관질환 전문의인 순환기내과 김효수 교수, 심장내과 최재웅 교수..

엔터로그/다큐멘터리 2024. 4. 11. 15:32

대장암부터 악성 변비까지! 예방과 치료는 어떻게 하나? | 명의

건강한 일상은 쾌식, 쾌면, 그리고 쾌변에서 시작한다. 이 중 한 가지라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평온했던 일상에 균열이 생긴다. 우리나라의 2040 대장암 발병률은 전 세계 1위, 대장암은 국내 암종 순위 2위로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변비 발생률 역시 점점 증가하고 있지만 숨기거나 방치하는 환자들이 많아 정확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대장 건강을 확인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인 대장내시경 검사는 50대 전후에 받아야 하지만 귀찮다는 이유로 받지 않는 사람들도 많다. 우리의 대장 건강, 이대로 괜찮은 것일까? 우리의 일상과 생명을 지키기 위해 대장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대장암의 적극적인 예방법! 용종을 제거하라! 2년 전 60대 중반이 되어서야 생애 최초로 대장내..

엔터로그/다큐멘터리 2024. 4. 3. 16:51

탈모, 어떻게 치료할까? 탈모약에 대한 오해와 진실 | 명의

- 눈 떠보니 ‘휑~’ 사라진 소중한 내 모발! 탈모, 어떻게 치료할까? - 모발이식, 누구나 받을 수는 없다! 모발이식이 가능한 사람과 어려운 사람의 차이는? - 약만 먹고도 풍성풍성? 탈모약에 대한 오해와 진실! 탈모는 단순 노화가 아닌 질병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2022년 탈모 환자 수는 약 25만 명. 10년 전인 2013년보다 약 4만 5천 명 증가한 수치다. 게다가 중년의 병이라고 생각하는 사회적 인식과 달리 탈모 환자의 과반수가 20대~40대의 청년, 장년층이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환자들이 민간요법에 의존하는 것이 현실이다. 대한모발학회가 탈모 증상을 겪었거나 겪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 따르면, 응답자의 78.1%가 샴푸나 건강기능식품 등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엔터로그/다큐멘터리 2024. 3. 27. 16:11

과민성 대장 증후군, 뭘 먹고 뭘 피해야 할까? 염증성 장질환 치료법은? | 명의

길을 걷다가 혹은 달리는 차 안에서 갑자기 배변 신호가 온 적이 있는가? 누구나 한 번쯤 겪어 봤을 난감한 상황이 매일같이 벌어진다면 어떨까? 대장 질환은 설사, 혈변, 복통 등의 증상이 반복되며 일상을 위협한다. 대장 내시경에서 염증이 발견되지 않았는데도 설사와 변비가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은 연간 약 140만 명의 환자들이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또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으로 대표되는 염증성 장질환 역시 1980년대 이전에는 희귀 질환에 속했지만, 가공식품, 육류 섭취 등 서구화된 식습관 등으로 인해 최근 환자 수가 급증하고 있다. 완치가 어렵고 재발이 잦은 대장 질환! 최근 새로운 약제의 등장으로 치료의 패러다임이 바뀌었다는데, 과연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 또 평생 꾸준한 관리..

엔터로그/다큐멘터리 2024. 3. 20. 18:19

손목터널증후군·방아쇠 수지·건초염·TFCC 등 손·손목 질환 | 명의

손과 손목의 질환은 주로 손을 과사용하는 중장년층에서 많이 발생한다. 먹고살기 위해 분주히 손을 움직여 살아온 시간만큼 그 부담이 손에도 켜켜이 쌓이고 있기 때문이다. 설거지하는데 손목이 시큰거리거나 불편했다면? 목이 마를 때 물병을 열기 힘들어 고군분투한 경험이 있다면? 키보드를 치고 마우스를 움직이는데 손목이 뻐근하다면? 스마트폰을 사용하다 손가락이 아픈 적이 있다면? 우리 몸에서 가장 섬세한 구조로 이루어진 손, 그만큼 까다롭고 쉽게 무너질 수 있는 손, 당신도 어쩌면 당신에게 찾아오고 있는 손 질환을 발견하지 못하고 있을 수도 있다. 손목터널증후군, 방아쇠 수지, 건초염, TFCC 등 복잡한 구조만큼 다양한 종류의 질환이 있는 손은 그만큼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방법이 요구된다. 정형외과, 그중에서도..

엔터로그/다큐멘터리 2024. 3. 13. 16:25

잘 알려지지 않아 더욱 무서운 심근병증·부정맥! 어떻게 치료하고 예방할까? | 명의

가슴을 짓누르는 흉통과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차다면? 두꺼워지는 심장 근육, 얇고 늘어난 심장 근육이 돌연사를 부른다!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심장 근육. 어떻게 건강하게 지켜야 할까? 대부분 가슴을 짓누르는 흉통과 숨이 턱까지 차오르는 호흡곤란이 생긴다면 심혈관 질환을 의심할 것이다. 그런데 심혈관질환만큼이나 위험한 심장병이 있다. 바로 심장 근육이 두꺼워지거나 반대로 얇아져 심장 기능이 떨어지는 심근병증이다. 심근병증은 심혈관질환처럼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심한 경우 돌연사를 부르는 무서운 질환이다. 잘 알려지지 않아 더욱 무서운 심근병증 과연 그 원인은 무엇이고 어떻게 치료하고 예방해야 할까? EBS ‘심장도 근육이 아프다 – 심근병증’ 편에서는 심장외과 명의 김욱성 교수와 순환기내과 명의 이상철 교..

엔터로그/다큐멘터리 2024. 3. 6. 16:41

망막박리, 근시와의 관계는? 망막박리의 치료법과 예방법 | 명의

우리는 여러 감각기관에 의지하여 세계를 인식한다. 그중에서도 눈은 외부 정보의 80%를 담당한다. 그만큼 시각은 우리 몸과 삶의 질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어느 날 눈앞에 날파리가 어른거리거나 섬광이 번쩍인다면? 커튼이 쳐진 것처럼 시야가 불편하다면? 평소 눈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혹은 나이가 들어 생긴 노안 때문이라고 이런 증상들을 가볍게 여기고 방치해선 안 된다. 시력을 잃게 되는 치명적인 질병의 전조증상일지도 모른다. 눈의 가장 안쪽에 붙어있는 얇은 신경조직, 망막! 망막에 구멍이 생기거나 찢어져, 유리체 액체가 새면서 망막이 떨어지는데, 이것을 망막박리라 한다. 망막박리를 방치하면 망막이 점점 더 많이 떨어지고, 치료받지 않으면 실명에 이르게 된다. 망막박리의 위험으로부터 소중한..

엔터로그/다큐멘터리 2024. 2. 21. 16:47

무릎 관절이 두렵다면? 중년의 반월상 연골판 손상 주의보! | 명의

무릎은 신체의 무게를 지탱하는 만큼 손상을 입기도 쉬운 부위이다. 특히 무릎 관절 연골의 쿠션 역할을 하는 반월상 연골판은 부드러운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어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열될 수 있다. 반월상 연골판이 파열되면 먼저 격렬한 통증이 발생하며 무릎이 붓기 시작한다. 이후 점차 무릎에 힘이 빠지며 관절이 급속도로 손상된다. 이로 인해 관절 모양에도 변형이 찾아오며, 간단한 생활 동작이 어려워지고 심각한 보행 장애가 생기기도 한다. 방치하면 무릎 관절염 진행을 가속하는 ‘반월상 연골판 파열’, 이미 치료의 적기를 놓쳤다면, 수술만이 유일한 해결책일까? 수술 없이 다시 건강한 무릎을 회복하는 방법은 없을까? EBS ‘무릎 관절염이 두렵다면? 주목! 반월상 연골판’ 편에서는 FIFA U-20 월드컵 대표팀 ..

엔터로그/다큐멘터리 2024. 2. 15. 16:11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대구는 요즘 어때? © YOZMDAEGU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티스토리툴바